개발자
-
오픈 소스에 컨트리뷰트하기 (feat.Spring)기술 2024. 4. 28. 22:13
얼마 전, 살면서 첫 오픈 소스 컨트리뷰트를 했다. 무려 내가 매일 회사에서,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쓰고 있는 Spring 프로젝트에 첫 컨트리뷰트를 했다. 최근, 담당 프로젝트에서 Http 통신을 위한 클라이언트를 WebClient에서 RestClient로 전환 중이다. 프로젝트가 코틀린 + 스프링 MVC 프로젝트인데, RestTemplate이 Deprecated 될지도 모른다는 이야기(안됩니다)에 WebClient를 사용 중이었다. 현재 담당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내부 코어 시스템과 외부를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모듈이다. 그렇다 보니, 외부 호출이 굉장히 잦은 프로젝트인데, 이를 할 때마다 항상 runBlocking을 코드에 묻히고 가야하는게 참 불편하다고 느꼈다. 그래서 빠르게 스프링 버..
-
2022년 회고 - Freshmen생각정리 2023. 1. 30. 23:08
사회 생활을 시작한 첫 한 해였다. 회사에서는 신입 사원으로, 커리어로는 신입 개발자로, 팀에는 새로운 팀원으로 지낸지 벌써 1년이 지났다. 한 해를 스스로 평하면, B+ 정도면 적당할 것 같다. 스스로 한 해를 돌아보자면, 가장 먼저 건강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 좀 아쉽다. 오른쪽 어금니 사이의 잇몸 통증이 계속해서 나를 괴롭히고 있다. 언제부터인지 치아 통증이 있었는데, 평소에도 욱씬거릴 정도로 상태가 악화되었었다. 치과 치료를 받았지만 나아지진 않았다. 그 이후, 꾸준하게 잇몸 치약을 쓰고 식사 후 치실질을 해주니 좀 나아지는 것 같더라. 치아가 건강에 굉장히 중요하다고 하던데, 이를 앞으로 더 관리 잘하라는 하늘의 계시라는 걸로 알고, 치아 관리에 힘써야겠더라. 그리고, 수면 습관이 약간 불..
-
개발자로 살아남기독서 2022. 9. 11. 22:25
보통 20대 후반에 취직한다면, 50대 후반까지 30년은 일해야 한다. 하지만 시간만 흐른다고 경력이 쌓이고 저절로 승진하며 30년을 한 직장에서 일하는 시대는 끝났다. 그렇기에, 이 책의 저자는 끝없이 성장하고 위로 올라갈 수 있는 개발자의 커리어 패스를 제시한다. IT 제품의 메이커인 개발자의 커리어 패스에는 3가지 포인트가 있다. 바로 기술 / 제품 / 사람이다. 사람이 기술을 통해 제품을 만드는 것이 IT산업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30년의 경력을 성장하는 시기 10년, 리딩하며 일하는 시기 10년, 서포트하는 시기 10년으로 나눈다. 이해하기 쉽게 말하자면, 팀원으로 10년, 팀장으로 10년, 임원으로 10년 살아가는 것이다. 연차로 말했지만, 단순히 연차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가장 중요한 건 ..
-
나는 어떻게 개발자로 취직을 했는가? - 2생각정리 2022. 8. 15. 13:58
해당 글에서 이어집니다. 나는 어떻게 취직을 했는가? - 1 해당 글에서 이어집니다. 나는 왜 취직을 하는가 해당 글에서 이어집니다. 나는 왜 개발자를 하는가 나는 한 인서울 대학교의 문과 계열 통계학과에서 공부를 했다. 동기, 선후배 대부분 통계/인 hui0221.tistory.com 전략적으로 서류, 코딩 테스트, CS 지식 및 기본기에만 집중하기로 선택했다. 그렇다면, 이 세 가지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준비했는지 간단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자기 소개서 개발자로 취직하기 위한 첫 번째 허들은 서류이다. 나는 서류 중 자기소개서에 많이 집중했다. 토익이나 기타 자격증이 전무했기에, 내가 흔히 말하는 "스펙"으로 가지고 있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사실 그래서 자기소개서에 많이 집중할 수 밖에 없었다..
-
나는 어떻게 개발자로 취직을 했는가? - 1생각정리 2022. 8. 15. 13:53
해당 글에서 이어집니다. 나는 왜 취직을 하는가 해당 글에서 이어집니다. 나는 왜 개발자를 하는가 나는 한 인서울 대학교의 문과 계열 통계학과에서 공부를 했다. 동기, 선후배 대부분 통계/인공지능/금융공학 관련 대학원 진학, 카드/보험/증 hui0221.tistory.com 8월 즈음, 급격하게 취직 준비를 시작했고 7개의 회사에 지원한 후 그 해 하나의 회사에 최종 합격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K사 공채 : 코딩 테스트 탈락 - L사 하반기 공채 : 서류 합격 - 코딩 테스트 탈락 - N사 클라우드 계열사 하반기 공채 : 서류 합격 - 코딩 테스트 탈락 - N사 하반기 공채 : 서류 합격 -> 코딩 테스트 합격 -> 1차 면접 합격 -> 최종 면접 합격 - D사 윈터 인턴십 : 서류 합격 ->..
-
나는 왜 취직을 하는가생각정리 2021. 12. 26. 13:22
해당 글에서 이어집니다. 나는 왜 개발자를 하는가 나는 한 인서울 대학교의 문과 계열 통계학과에서 공부를 했다. 동기, 선후배 대부분 통계/인공지능/금융공학 관련 대학원 진학, 카드/보험/증권 등 금융사 취직, 공기업 취직 그리고 행정고시/ hui0221.tistory.com 좋은 스타트업을 만들어내고 싶었고, 이를 위해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웹 백엔드 공부를 시작했다. 2021년 4월 연구실 학부 인턴을 그만두고, 3주 정도 장고를 공부하고 있던 참이었다. 그러던 도중, 학교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초기 스타트업 멤버를 구한다는 글을 보고 아직 제대로 할 줄 아는 것도 없으면서 대뜸 연락을 했다. 서버 개발자를 뽑는데 당당하게 지원한 그때의 내가 참... 경력도, 프로젝트 경험 없고 심지어 컴퓨..
-
나는 왜 개발자를 하는가생각정리 2021. 12. 19. 18:45
나는 한 인서울 대학교의 문과 계열 통계학과에서 공부를 했다. 동기, 선후배 대부분 통계/인공지능/금융공학 관련 대학원 진학, 카드/보험/증권 등 금융사, 공기업 취직 그리고 행정고시/로스쿨/회계사 등 시험 도전 정도에서 진로를 선택한다. 나도 작년 가을부터 인공지능 연구원을 목표로 컴퓨터학과의 딥러닝 연구실에서 학부 인턴을 하고 있었다. 올해 4월 초 공부를 하다 도서관에서 나오며 맑은 하늘과 아름다운 경치를 보는데, 숨이 콱 막히는 기분이 들었다. "4년 동안 다닌 학교를 짧게는 2년, 길게는 5년을 더 다닐 수 있을까?" "긴 호흡으로 진행되는 연구라는 일을 내가 계속해서 즐기며 잘할 수 있을까?" 두 가지 질문에 긍정적인 대답을 할 수 없었다. 그래서 난 다른 길을 찾아야겠다고 생각하고 다음 기준..